메뉴 건너뛰기

 

목회자로서 김목사는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경배하고 말씀과 기도를 통해 사람을 세우고 또 성도들의 인생의 여정에 함께한다는 것은 분명 감사한 일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특히, 목회하는 가운데 믿음 안에서 자라난 젊은이들이 결혼을 하고 그 결혼식의 주례자로 부탁을 받으면 조심스러우면서도 여간 기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아주 좋은 일을 앞두고도 절차에서 오해가 생겨 그 기쁨이 반감되는 일을 겪으면서 당부의 부탁을 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결혼은 창조주 하나님께서 정하신 제도로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축복 아래 신성한 새 가정의 출발이 되는 절차임을 알아야겠습니다. 결혼식 또한 그렇습니다. 그러기에 결혼식이라 하지 않고 결혼예배라고 합니다.

따라서 성도의 결혼은 양심상, 교회 규례상, 국가의 법률상 저촉됨이 없어야 하겠습니다. 이 말은 결혼이 분명 축복의 시작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결혼에는 목사가 주례를 할 수 없음도 의미합니다.

이것을 모르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랑이나 은혜라는 말로 모든 것이 용납되지 않아 섭섭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결혼을 앞둔 당사자들이나 자녀를 둔 성도들은 분명 말씀 안에서 깨어 있어야겠습니다.

또 하나는 주례에 관한 것입니다. 결혼 당사자 입장에서는 목사가 당일 날 주례만 해주면 고마울지 모르겠지만, 목회자인 저로서의 관심은 당일 결혼식뿐만 아니라 그들의 결혼 생활에 더 관심과 책임을 느낍니다. 특히 오늘날 치솟는 이혼율을 보면 더욱 그렇습니다.

솔직히 저는 여러분의 목사로서 결혼식보다 결혼생활에 관심이 더 많습니다. 그것이 주례자의 책임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젊은이들이 결혼을 준비하면서 염두에 두어야할 사안은 가능하다면 빠른 시일이 좋겠지만 최소한 8주 전에 목사님에게 알려주시고 배우자 될 사람과 함께 찾아와 예비부부의 삶 훈련시간을 의논토록 해주셔야 합니다.

인생에게서 중요한 4가지인 출생, 결혼, 취업, 죽음 중 쉬운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하지만 그나마 결혼은 내 의지가 가장 많이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그것에서 우선순위를 찾지 못한다면 목회자의 주례는 단순히 요식행위에 불과할 뿐입니다.

원래 결혼을 준비하다보면 참 많은 어려움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그렇다할지라도 최선을 다함으로 반드시 해야 할 절차는 해냄으로서 복된 출발을 만들어 내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기에 부탁드립니다. 이제부터 교제를 시작할 때는 먼저 목자를 통해 저를 찾아와 주십시오.

그래서 간단하게라도 권면과 함께 축복기도를 받는다면 두 사람의 교제가 훨씬 더 신중하고 진정성이 있어질 것이며, 또 그것이 당사자들을 위해서 기도하고 있는 담임 목사에 대한 예의라고 봐집니다.

 

특히 싱글목장의 식구들은 꼭 결혼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담임 목사에게 와서 기도받고 교제를 시작해 주면 더욱 좋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231224 선물로 주신 믿음을 소유하고 있나요?. 샬롬 2024.02.20 294
121 231210 목장교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찾읍시다 샬롬 2024.02.20 327
120 231203 건강한 교회를 향한 염원(念願) 샬롬 2024.02.20 568
119 231119 심은대로 거두는 진리 샬롬 2024.02.20 302
118 231112 가정교회의 정신(spirit) 점검하기 샬롬 2024.02.20 289
117 231105 기다려주는 것만이 능사일까요? 샬롬 2024.02.20 289
116 231029 이렇게 진행됩니다. 샬롬 2024.02.20 289
115 231022 변화의 계기가 필요합니다. 샬롬 2024.02.20 292
114 231008 특별한 집회를 마련합니다. 샬롬 2024.02.20 289
113 230924 섬김의 장으로서의 추석 명절 샬롬 2024.02.20 289
112 230917 복된 결혼예식을 위하여(2) 샬롬 2024.02.20 289
111 230910 복된 결혼예식을 위하여 샬롬 2024.02.20 288
110 230827 성공을 향한 훈련 샬롬 2024.02.20 288
109 230820 책임을 다하는 신앙인 샬롬 2024.02.20 289
108 230806 고통과 고난을 어떻게 다스릴까요? 샬롬 2024.02.20 289
107 230723 교육의 온전한 회복을 누리려면... 샬롬 2024.02.20 293
106 230709 우는 사자같이 삼킬 자를 찾습니다 샬롬 2024.02.20 288
105 230702 감사(感謝), 어떻게 할까요? 샬롬 2024.02.20 290
» 230618 결혼을 준비하는 모든 이들에게... 샬롬 2024.02.20 1400
103 230611 여름수련회의 방향성과 그 역할 샬롬 2024.02.20 291
오늘하루열지않음 [닫기]